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 버스 서초03

덤프버전 :

||


파일:서초03_9041.jpg
파일:서울서초03_3267.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서초0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초03노선도.png
기점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교대역)종점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신사역8번출구.가로수길)
종점
첫차06:00기점
첫차06:00
막차23:00막차23:00
평일배차14분주말배차20분
운수사명서일교통인가대수10대(예비 2대)
노선교대역 - (→ 서초삼성래미안아파트 → 서초성당 →/← 구립중앙복지관 ← 서초1동주민센터 ←) - 창신교회.서리풀노리학교 - 서초2동주민센터 - (→ 서초청소년도서관 →/← 래미안리더스원 ← 서초현대렉시온오피스텔 ←)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신사역8번출구.가로수길


2. 개요[편집]


서일교통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01-3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서초03번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편집]


  • 강남역을 거치는 몇 안되는 마을버스 노선 중 하나다.

  • 강남대로도 거치기 때문에, 회차지인 가로수길 정류장은 강남구 정류장이다. 강남대로 구간이 매우 길고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타지 않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에는 극심한 정체로 인해 시간이 많이 지체된다. 때문에 기사들이 전용과 가변차로를 번갈아 운행한다.

  • 중앙버스전용차로에 정차하는 버스 노선이 아니라서 신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강남역을 최소한의 도보로 편하게 갈 수 있는 노선이다. 이러한 장점은 특히 교대역 방면 버스에서 더욱 부각된다.

  • 2018년 7월부터 광역버스 정류장인 강남역 4번출구에도 정차한다.

  • 강남대로는 신분당선 공사로 인해 정류장 위치가 수시로 바뀐다. 이전에는 신사역에서 쉬는 경우도 있었으나, 강남08번과 달리 도로구조상 장시간 대기가 불가하여 현재는 그나마 공간이 넓은 교대역 방향의 논현역 정류장에서 쉬고 있다. 회차지도 논현역으로 간주하며, 배차도 이 곳을 기준으로 조율한다.[1]

  • 현재는 실제 회차지가 신사역이 아닌 논현역으로 실간주된 상황이다. 실제로, 아침 첫차부터 논현역에서 배차를 조율하며 기사들도 논현역에서 휴식한 뒤 몇 분 정차 후 출발한다고 알려준다. 그리고, 아침 7시와 오후 5시 전후로 총팀장이 전체 무전으로 각 정류소 별 승객 모객[2] 및 안전운전 당부를 지시한다. 보통 정시 출발을 하는 경우는 없고, 강남대로 정체의 특성상 정규 시간표보다 1~3분 조발을 하는 경우가 다수이다.[3]
    • 차내 시간표에 의거하여, 논현역에서는 매시 00분, 06분, 12분, 18분, 24분, 30분, 36분, 42분, 48분, 54분에 출발하도록 되어있으나 보통 2~3분 조발을 하는 경우가 다수이다.


  • 복지관 및 서초성당 인근 이면도로가 도로폭이 협소해 차량교행이 어렵고 보도가 없어 휠체어 리프트를 마땅히 댈 공간이 없어 저상버스 의무화 대상에서 제외됐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서초03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9,534명-
2014년9,527명▽ 7
2015년10,219명△ 692
2016년10,962명△ 743
2017년10,607명▽ 355
2018년9,691명▽ 916
2019년10,652명△ 961
2020년8,091명▽ 2,561
2021년7,935명▽ 156
2022년5,829명▽ 2,106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15:19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서초0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보통 차가 심하게 밀리지 않으면 2~3분 정도 대기하지만, 경우에 따라 1~2분 조발을 하기도 한다.[2] 강남역이나 신논현역 등 최대한 승객이 몰리는 곳에서 승객을 몰아태우도록 지시하는 편이다.[3] 5번출구 앞쪽에 전용 정류장이 있으며, 환승객이 어느 정도 탔다 싶거나 뒷차가 신사역을 돌고 오는 경우 조발을 하는 경우가 잦다. 현장의 무전에서는 흔히 "찍는다"라고 표현하는데, 팀장이 찍으라고 지시를 하면 특정 순번부터 일종의 탄력 배차 형태로 운행한다.